의림지 시설들은 필요성과 적절성에 대해 다각도의 검토가 요구된다.앞에서 다룬 건축물은 철거가 가능하지만 시설은 철거나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첫 번째 문제 시설로 지적되는 것은 의림지 호안을 성벽처럼 석축으로 정비한 것이다. 의림지는 사력댐으로 내부는 흙과 자
의림지를 대표하는 큰 시설물 중 대표적인 것이 박물관이다. 박물관을 기획하면서 농업, 문화, 역사 중심의 테마박물관을 기획했으나 지금의 모습은 사뭇 다르다.박물관은 의림지에서 너무 가깝게 지어졌다. 의림지변 도로에서 100m 거리에 지었는데 문화재보호법에 의하
의림지에 설치된 시설을 원형과 비교하려면 옛 그림이 제격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인용되는 그림이 이방운의 의림지 그림이다. 이 그림은 1802년 청풍 부사 조영경이 주변의 명승을 탐방하고 이방운(1761-1815)에게 그림을 그리게 하여 만들어진 화첩에 들어있다.
의림지에는 역사만큼 이야기와 문화재가 산재해 있지만 첫 번째 언급할 역사는 우륵과 관련된 것이다. 우륵이 의림지를 축조했다는 이야기가 있고 의림지에서 살았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1871년 『호서읍지(湖西邑誌)』에는 “우륵당은 의림지 동쪽
의림지는 청전 뜰(새터뜰, 새뜰)에 물을 대기 위해 만든 수리시설이다. 문헌에 따르면 의림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저수지로 꼽힌다. 제천의 옛 이름인 내토(奈吐)·대제(大堤)·내제(奈堤)가 모두 둑이나 제방을 의미하기 때문에 의림지 역
▲ 제천 의림지제천을 대표하는 의림지가 몸살을 앓고 있다.위, 아래로 빼곡히 건축물이 들어서고 의림지 오른쪽 도로는 4차선 공사가 한창이다.의림지가 제천 대표 관광지로 소개되면서 사람이 모이니 이것을 이용해 돈을 벌자는 상업적 가치관이 상존하는 현실에서 의림지 난개발은
제천시민공원(보건복지센터뒷산) 인근 임야가 성토를 하면서 흉물로 주민들의 빈축을 사고있다. 인근 주민에 따르면 "내땅에 내가 성토하는데 누가 간섭을 하느냐"면서 성토를 해서 말리지 못했지만 위압감을 느끼는 높이에 한숨만 쉴뿐이라고 토로했다. 누가 봐도 답답한 모습인데,
1999년부터 시작된 제천소방서~원뜰간 왕복 4차선 도로개설공사는 그동안 시민 반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지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총 85필지(5만9221㎡)중 65필지 보상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보상이 완료된 상태다.이 사업은 한동안 중단되었다
충북 제천시는 현재 진행 중인 자이아파트(713세대), 세영리첼(564세대), 이편한세상(630세대)를 제외하고도 미니복합타운등 3곳을 더 지정해 1.327세대를 추가 공급할 계획을 세우고 있어 과잉공급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제천시는 현재 2022년 8월말 기준 인
충북 제천상권르네상스사업단이 추진한 중앙시장 내 솔티펍(수제맥주 브루잉랩)이 사업목적과 다르게 운영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지난 2020년 11월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에 제천상권르네상스사업단이 선정돼 10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 받아 원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해 중
JDnews 김응석, 유소진기자= 충북 제천 지역내 수 십년 전 공사가 중단된 후 방치된 건축물들로 인해 도시미관을 해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시민들에게 혐오감을 주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또한, 관광지 인근에도 건축허가 이후 수 년간 정상적인 영업을 하지 못한 체
▲ 제천시 의림지복합리조트 조감도충북 제천시 의림지복합리조트 사업이 올해 초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된 이후 수 개월째 투자협약을 맺지 못하고 연기되면서 사업 추진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전망이다.사업비 1,200억 원 규모의 제천 의림지복합리조트 건립 사업은 올해 3월 말
▲ 의림지 놀이공원 전경충북 제천시의 대표적 랜드마크인 의림지 주변 개발사업이 일부 토지주와의 보상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1일 제천시에 따르면 의림지 주변으로 시민쉼터 공원과 역사박물관이 조성되어 있으며 현재 수리공원 조성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그
지난 8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충북 제천시 문화의 거리에서 진행된 제천 수제맥주&달빛야시장 축제가 도로점용허가를 받지 않고 치뤄져 논란이 되고 있다.제천문화재단 상권르네상스사업단이 추진한 '2022 제천 수제맥주&달빛야시장 축제'는 이번 제천국제
▲ 신월동의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가 식재된 나무들의 뿌리가 자라나 트랙이 파손돼 지면이 들떠 있을뿐 아니라 (빨간부분)도로 중앙에 나무가 있어 시민들의 보행에 불편을 주고 있다. 충북 제천 지역의 자전거도로가 파손된 채 방치되고 있는 곳이 많아 이용자들의 안전